염증은 국소적인 자극에 대한 혈관이 있는 생체조직의 반응이다. 손상부위를 국소화시키고 정상상태로 회복하려는 개체의 방어기전이다.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으로부터 수복(치유)에 이르는 일련이 형태학적 및 기능적인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또 다른 의미로 염증반응은 생체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비특이적 면역반응이며 미생물 감염 없이 일어날 수 있다. 염증의 결과로 삼출물이 생성될 수 있는데 병리학적 삼출물 특성에 따라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카타르성, 출혈성 염증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목차
⨀ 1. 장액성 염증(serous inflammation)⨀ 2. 섬유소성 염증(fibrinous inflammation)
⨀ 3. 화농성(purulent inflammation)
⨀ 4. 카타르성 염증(catarrhal inflammation)
⨀ 5. 출혈성 염증(hemorrhagic inflammation)
장액성 염증(serous inflammation)
장액성 염증은 급성 염증 초기단계에 나타나며 경미한 손상 시 발생한다. 특징적으로 단백성분이 적고 점성이 낮은 액체 성분(장액)이다. 섬유소는 없고 염증세포 침윤도 미약하다. 조직 내 염증성 부종, 체강 내 염증 시 생성된다. 예로는 화상 후 수포가 형성되는 것, 흉강, 심막강, 보강, 관절강 등에 다량의 장애의 저류 등이 있다. 장액성 염증의 경우 유착, 반흔 없이 잘 치유된다.
섬유소성 염증(fibrinous inflammation)
섬유소성 염증은 다량의 섬유소원을 포함한 혈장성분이 삼출되어 병소에 섬유질이 현저하고, 호중구 침윤도 증가하게 된다. 호중구 침윤이 증가한다는 것은 병소에 호중구의 침윤하며 파괴되면 호중구 내이 리소좀 등에 의해 조직파괴가 증가하게 되면 혈관의 누출성이 증가하므로 혈장성분과 더불어 다량의 섬유소원을 포함하여 삼출 되게 된다. 대표적인 질명으로 흉막염, 심낭염, 대염성 폐렴 등에서 장막면(visceral wall)에 호중구를 포함한 다량의 섬유소로 인해 거칠어진다. 조직 손상이 심하므로 이유 후에는 유착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화농성 염증(purulent inflammation)
화농성 염증의 특징은 병소에 농(pus)이나 화농성 삼출물이 축적된다. 화농성 세균(포도알균, 임질균, 수막구균 등)에 감염 시 화농성 염증으로 진행한다. 대표적인 질병은 급성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등이 있다. 이 질병은 충수돌기벽에 다형핵백혈구(과립구)가 국소적으로 침윤하며 화농성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농양(abscess)은 화농성 염증이 국소적으로 제한된 것으로 고름이 한 곳에 모여 고여있는 것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농양이 주변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섬유화농양벽을 형성하여 고름이 모여있게 된다. 농양이 생기면 항생제가 농양벽 내부로 침투가 어려워진다. 이런 경우 배농치료 또는 외과적 제거를 통해 치료를 해야 한다.
카타르성 염증(catarrhal inflammation)
카타르성 염증은 점액성 염증이라고도 함다. 점액을 분비하는 점막에서 염증이 발생하여 많은 점액을 분비하는 경우이다. 삼출물 속에 점액과 탈락상피세포가 다량 섞여 있다. 대표적인 질병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감기등이다. 카타르성 염증은 장액성 염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출혈성 염증(hemorrhagic inflammation)
출혈성 염증은 심한 혈관 손상시 발생하며 출혈성 삼출물은 섬유소성 염증과 화농성 염증이 포함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의 적응 (0) | 2023.04.27 |
---|---|
관상동맥질환(CAD) 분류 (1) | 2023.04.26 |
염증의 5징후 (0) | 2023.04.25 |
급성염증 (0) | 2023.04.24 |
부종의 원인 및 발생기전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