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개론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개정(2023년 2월 28일)

by 널스톡톡 2023. 4. 27.
728x90
반응형

윤리강령은 한국 간호사들이  간호를 하면서 어떤 간호를 할 것인가를 세상에 공포하고 그것을 지키겠다는 규약의 일종이다. 간호윤리의 최소한의 지침이 되는 것이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1972년 최초로 제정 된 이후 2013년 4차 개정이 된 이후 지속되어 오다가 10년 만인 올해 2023년 2월 28일에 5차 개정이 되었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서문과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론은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간호사와 대상자',  '전문인으로서 간호사의 의무', ' 간호사와 협력자' 간의 윤리로 되어 있다.

 

 

 

간호사 윤리강령 서문

간호사 윤리강령 서문은 내용의 변화는 없고, 문맥이 조금 더 자연스럽도록 다듬어졌다.

 

간호의 근본이념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존중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간호의 근본이념은 인간 생명을 존중하고 인권을 지키는 것이다.

간호사의 책무는 인간 생명의 시작으로부터 끝에 이르기까지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며, 건강을 회복하고, 고통이 경감되도록 돌보는 것이다.
간호사의 책무는 인간 생명의 시작부터 삶과 죽음의 전 과정에서 간호 대상자의 건강을 증진하고질병을 예방하며건강을 회복하고고통이 경감되도록 돌보는 것이다.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간호 대상자 스스로 건강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여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간호 대상자 스스로 건강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여 최선의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에 대한간호협회는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이바지하는 전문인로서 간호사의 위상과 긍지를 높이고, 윤리 의식의 제고와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하여 이 윤리 강령을 제정한다.
 이에 대한간호협회는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이바지하는 전문직 종사자로서 간호사의 위상과 긍지를 높이고, 윤리 의식의 제고와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하여 이 윤리 강령을 제정한다.

 

 

 

 

 

 '간호사와 대상자' 영역

 

1. 평등한 간호 제공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국적, 인종, 종교, 사상, 연령, 성별, 정치적‧사회적‧경제적 지위, 성적 지향, 질병, 장애, 문화적 차이를 불문하고 차별 없는 간호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국적인종종교사상연령성별정치적‧사회적‧경제적 지위성적 지향질병장애문화 등의 차이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간호한다.

2. 개별적 요구 존중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관습, 신념 및 가치관에 근거한 개인적 요구를 존중하여 간호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관습, 신념 및 가치관에 근거한 개인적 요구를 존중하여 간호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3. 사생활 보호 및 비밀유지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비밀을 유지하며, 간호에 필요한 정보 공유만을 원칙으로 한다.
☞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개인 건강 정보를 포함한 사생활을 보호하고, 비밀을 유지하며, 간호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공유를 원칙으로 한다.

4. 알 권리 및 자기결정권 존중
간호사는 간호의 전 과정에 간호 대상자를 참여시키며, 충분한 정보 제공과 설명으로 간호 대상자가 스스로 의사 결정을 하도록 돕는다.

5. 취약한 간호 대상자 보호
간호사는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는 간호 대상자를 보호하고 돌본다.

6. 건강 환경 구현
간호사는 건강을 위협하는 사회적 유해 환경, 재해, 생태계의 오염으로부터 간호 대상자를 보호하고, 건강한 환경을 보전유지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7. 인간의 존엄성 보호(신설)
간호사는 첨단 의과학 기술을 포함한 생명 과학 기술의 적용을 받는 간호 대상자를 돌볼 때 인간 생명의 존엄과 가치를 인식하고 간호 대상자를 보호한다.

 

 

 

 

전문인으로서 간호사의 의무

2013년 개정 강령에는 전문가로서의 간호사 의무에서 전문인으로서 간호사의 의무로 변경됨

7. 간호 표준 준수
간호사는 모든 업무를 대한간호협회 업무 표준에 따라 수행하고 간호에 대한 자신의 판단과 행위에 책임을 진다.
8. 간호 표준 준수
간호사는 모든 업무를 대한간호협회 간호 표준에 따라 수행하고 간호에 대한 자신의 판단과 행위에 책임을 진다.

8. 교육과 연구
간호사는 간호 수준의 향상과 근거 기반 실무를 위한 교육과 훈련에 참여하고, 간호 표준 개발 및 연구에 기여한다.
9. 교육과 연구
간호사는 간호 수준의 향상과 근거 기반 실무를 위한 교육과 훈련에 참여하고, 간호 표준 개발 및 연구에 기여한다.

9. 전문가 활동
간호사는 전문가로서의 활동을 통해 간호정책 및 간련제도의 개선과 발전에 참여한다.
10. 정책 참여(대폭 개정)
간호사는 간호 전문직의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간호 정책 및 관련 제도의 개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10. 정의와 신뢰의 증진
간호사는 의료자원의 분배와 간호 활동에 형평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며 사회의 공동선과 신뢰를 증진하는 데에 참여한다.
11. 정의와 신뢰의 증진
간호사는 의료자원의 분배와 간호 활동에 형평성과 공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사회의 공동선과 신뢰를 증진하는 데에 기여한다.

11. 안전한 간호 제공
간호사는 간호의 전 과정에서 인간이 존엄과 가치, 개인의 안전을 우선하여야 하며,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12. 안전을 위한 간호
간호사는 간호의 전 과정에서 간호 대상자의 안전을 우선시하며,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12. 건강 및 품위 유지
간호사는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전문인으로서의 긍지와 품위를 유지한다.
☞ 13. 건강간호사는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전문인으로서의 긍지와 품위를 유지한다.

 

간호사와 협력자

13. 관계 윤리 준수
간호사는 의료와 관련된 전문직·산엽체 종사자와 협력할 때.  간호 대상자 및 사회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한다.
☞ 14. 관계 윤리 준수
간호사는 동료 의료인이나 간호 관련 종사자와 협력하는 경우 상대를 존중과 신의로서 대하며, 간호 대상자 및 사회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한다.

14. 간호 대상자 보호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15. 간호 대상자 보호
간호사는 동료 의료인이나 간호 관련 종사자에 의해 간호 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는 경우, 간호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15. 생명과학기술과 존엄성 보호
간호사는 인간생명의 존엄성과 안전에 위배되는 생명과학기술을 이용한 시술로부터 간호대상자를 보호한다.
16. 첨단 생명 과학 기술 협력과 경계
간호사는 첨단 생명 과학 기술을 적용한 보건 의료 연구에 협력함과 동시에, 관련 윤리적 문제에 대해 경계하고 대처한다.

https://youtu.be/Ti9tgH5ILyU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