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호학개론13 간호사의 주의 의무 간호사의 의무는 의료법에 명시된 의무와 의료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판례로 인정되는 의무가 있다. 판례에서 인정하는 간호사의 의무에는 주의의무, 설명의무, 확인의무, 감시 및 보고의무가 있다. 오늘은 첫번째로 주의의무를 알아보자 목차 ⨀ 1. 주의의무란 ⨀ 2.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 ⨀ 3. 주의의무 위반 판단기준 ⨀ 4. 주의의무와 간호과실 ⨀ 5. 주의의무 사례 주의의무란? 주의의무란 간호사가 간호행위를 하는 동안에 대상자에게 유해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의무이다.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 주의의무는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로 구성되는데 결과예견의무란 신중한 간호사라면 간호행위를 수행 시 그 행위로 인해 어떠한 결과가 발생할 것인지 예견을 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 2023. 5. 4.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개정(2023.02.28) 한국간호사 윤리선언과 윤리강령이 2023년 2월 28일 개정되었다. 한국간호사 윤리선언은 2014년 2월 19일 개정된 이래 9년 만의 개정이다. 개정 내용에는 간호 전문직으로서의 명예를 지키고 품위를 유지하며, 국민건강 지킴이의 역할 최선을 다한다는 내용이 강조되고 있다. 목차 ⨀ 1. 2014년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 2. 2023년 2월 28일 개정된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2014년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2014년 2월 19일 우리 간호사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을 옹호함으로써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숭고한 사명을 부여받았다. 이에 우리는 간호를 통한 국민의 건강증진 및 안녕 추구를 삶의 본분으로 삼고 이를 실천할 것을 다음과 같이 다짐한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간호전문직으로서의 명예와 품위를 유.. 2023. 4. 27.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개정(2023년 2월 28일) 윤리강령은 한국 간호사들이 간호를 하면서 어떤 간호를 할 것인가를 세상에 공포하고 그것을 지키겠다는 규약의 일종이다. 간호윤리의 최소한의 지침이 되는 것이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1972년 최초로 제정 된 이후 2013년 4차 개정이 된 이후 지속되어 오다가 10년 만인 올해 2023년 2월 28일에 5차 개정이 되었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서문과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론은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간호사와 대상자', '전문인으로서 간호사의 의무', ' 간호사와 협력자' 간의 윤리로 되어 있다. 목차 ⨀ 1. 간호사 윤리강령 서문 ⨀ 2. '간호사와 대상자' 영역 ⨀ 3. '전문인으로서 간호사의 의무' 영역 ⨀ 4. '간호사와 협력자' 영역 ⨀ 5. 정리 간호사 윤리강령 서문 간호사 윤리강령.. 2023. 4. 27. 구한말 선교간호사 에드먼즈, 쉴즈, 셰핑 한국간호에서 근대적인 간호사업이 태동할 수 있었던 것은 구한말 한국에 도착한 벽안의 선교간호사들의 노력 때문이다. 1891년 한국에 처음 도착한 최초의 서양 선교간호사인 에밀리 히드코트(Emily Heathcote)를 위시하여 웹스터(Elizaveth Webster), 제콥슨(Anna Jacolson), 쉴즈(Esther L. Shields) 등이 들어오고 1910년 경술국치 전까지 조선말기와 대한제국 시기에 22명의 선교간호사가 우리땅에 들어와 활동하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 간호교육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세명의 간호사가 있는데. 에드먼즈, 쉴즈, 셰핑이 그들이다. 한국의 근대간호를 태동시킨 3인의 벽안의 간호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목차⨀ 1. 한국최초 근대 간호교육을 시작한 에드먼즈 ⨀ 2... 2023. 4. 18.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