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호학개론13

의녀제도와 구한말 한국간호 조선시대와 구한말 시기의 한국간호역사를 정리해 보자. 구한말은 조선말기 개항기와 대한제국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구한말 한국간호는 1910년 한일합병 전까지의 간호역사를 의미한다. 목차 ⨀ 1. 조선시대 의녀제도 ⨀ 2. 구한말 병의원 설립 ⨀ 3. 구한말 선교간호사와 활동 ⨀ 4. 구한말 간호교육기관 ⨀ 5. 구한말 간호전문직 단체의 탄생 조선시대 의녀제도 조선시대 유교사상에 의해 남여 유별의 도가 있어, 여성 환자들이 남자의원에게 진료받기를 꺼려하고 이로 인해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까지 하는 것을 보고 태종이 의약제민(醫藥濟民)의 뜻으로 신설된 제도이다. 의녀제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종 6년: 의녀제도 신설, 제생원에서 의녀 양성 - 한양의 관비를 의녀로 양성: 주로 한양에서 활동.. 2023. 4. 18.
간호지식체 구축방법(feat. 양적연구방법 vs 질적연구방법) 간호학의 지식탐구는 인식론적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연구 방법이 있으나 간호학문에서는 크게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의 두 갈래가 있다. 목차 ⨀ 1. 간호의 양적연구 방법 ⨀ 2. 간호의 질적연구 방법 간호의 양적연구 방법 양적연구는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다. 실증주의는 경험적 검증을 강조하고, 결과적 산물과 이론에 중점을 둔다. 경험주의적 지식구축 방법은 경험된 사실 자료를 근거로 하는 귀납적 방법이다. 귀납적 추론은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현상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론방법이다. 인식론으로서 현대 과학의 기반이 되었다. 간호실무와 간호연구에는 경험주의적 영향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시각적 단서와 생리적 측정을 포함하는 감각적 정보는 간호진단과 중재에 필수적인 자료.. 2023. 4. 17.
윤리강령이란? 목차 ⨀ 1. 윤리강령이란? ⨀ 2. 윤리강령의 특징 ⨀ 3. 간호사 윤리강령의 기능 ⨀ 4.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 ⨀ 5. 정리 윤리강령이란? 윤리강령(codes of ethics)은 전문직 집단이 구성원이 따라야 하는 윤리적 가치와 행동을 규정한 것이다. 윤리강령은 법은 아니지만 전문직의 직업적 자율을 행사하기 위한 수단이며, 동시에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을 사회에 알리는 것이다. 윤리강령 특징 윤리강령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윤리강령은 전문직의 직업적 위상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윤리강령의 내용만 지키면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2. 윤리강령은 전문직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최소한 지침을 제공한다. 3. 윤리강령은 간결한 형태로 제정된다. 4. 윤리강령.. 2023. 4. 16.
간호의 정의 ⨀ 1. 간호의 정의 ⨀ 2. 간호이 과학적 특성 ⨀ 3. 간호이 예술적 특성 ⨀ 4. 전문직으로서의 간호 ⨀ 5. 내용 간호대학에 입학하면 1학년에 간호학에 대한 입문과목으로 간호학 개론을 배우게 된다. 이 교과에서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간호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이팅게일은 간호가 과학이자 예술이라고 했다. 이는 간호의 특성을 잘 설명해 주는 말이다. 간호의 정의와 간호의 과학적, 예술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문직으로서 간호를 살펴보자 간호의 정의 간호(Nursinf)의 기원 1. 그리스어와 라틴어 어원 - 라틴어 nutrix: 양육하다 - 그리스어 nutre: 영양을 주다, 키우다, 자라게 하다 2. 간호(看護) - 간(看): 보다, 이마에 손을 얹고 지켜보다 - 호(護): 보호하다, 지.. 2023. 4.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