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개론

윤리강령이란?

by 널스톡톡 2023. 4. 16.
728x90
반응형

 

 

 

 

윤리강령이란?

윤리강령(codes of ethics)은 전문직 집단이 구성원이 따라야 하는 윤리적 가치와 행동을 규정한 것이다. 윤리강령은 법은 아니지만 전문직의 직업적 자율을 행사하기 위한 수단이며, 동시에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을 사회에 알리는 것이다. 

 

 

 

 

 

윤리강령 특징

윤리강령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윤리강령은 전문직의 직업적 위상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윤리강령의 내용만 지키면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2. 윤리강령은 전문직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최소한 지침을 제공한다.

3. 윤리강령은 간결한 형태로 제정된다.

4. 윤리강령은 모든 상황에 분명한 지침을 주기보다는 광범위한 윤리적 방향을 제시해준다.

5. 윤리강령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한국 간호사윤리강령도 사회적 변화에 따라 4차 개정이
   이루어졌다. 

6. 윤리강령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할 수 있다. 

 

 

 

간호사 윤리강령의 기능

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직의 일차적 목표와 가치를 명백히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1. 간호직에 들어오려는 사람에게는 교육과 성찰의 자료가 되어준다. 

2. 간호직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가평가와 동료평가의 기준이 되고

3. 간호직 밖에서는 간호사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기대 수준의 지표를 제공한다. 

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행위를 안내하고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을 제공하며, 간호사들이 윤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기본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그러나 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업무 중에 일어나는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간호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의 체계적인 탐구를 위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1972년 5월 12일 국제간호사의 날에 공포하였다. 총 4회의 개정을 거쳐 2013년 4차 개정되었다. 한국 간호사 윤리강령은 서문과 각론으로 구분되며 서문에는 간호의 이념과 책무,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 윤리강령의 제정목적에 대한 서술문이며 각론은 3개 영역 총 1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정리

윤리는 행위의 옳고 그름에 관한 가치판단이다. 올바른 간호가 무엇인지 간호사는 매번 성찰하고 반성적 사고를 통해 고민해야 한다.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이정도까지 지켜야 한다'가 아니라 '최소한 이정도는 지켜야 한다'는 최소한의 윤리이다. 대상자를 중심에 두고 올바른 간호를 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유하고 철학하는 자세로 간호에 임해야 한다. 

간호사의 윤리강령이 개정되었습니다. 다음 동영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Ti9tgH5ILyU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