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

원발암유전자, 종양유전자, 종양억제유전자 원발암유전자, 종양유전자, 종양억제유전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발암 유전자(proto-oncogene) 원발암 유전자는 원종양유저자라고도 하는데 정상 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자로, 세포의 증식, 분열의 제어와 분화, 발생 등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유전자들은 세포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발암 유전자가 발암물질이나 방사선 작용에 의해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암유전자(oncogene)로 활성화되며, 이로 인해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암성화 되는 과정으로 진전될 수 있습니다. 즉, 원발암 유전자는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는 유전자라고 할 수 있고, 발암요인이 노출되어 원발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종양유.. 2023. 11. 28.
당뇨병 전단계(Prediabetes), 공복혈당장애와 내당능장애 목차 ⨀ 1. 당뇨병전단계(Prediabetes)란? ⨀ 2. 당뇨병 전단계 병태생리 ⨀ 3. 당뇨병 전단계와 합병증과의 관계 ⨀ 4. 당뇨병전단계 선별검사 대상 ⨀ 5. 당뇨벙전단계 치료 및 관리 당뇨병전단계란? 당뇨병전단계란 말 그대로 당뇨의 전단계로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단계를 의미합니다. 당뇨병전단계는 공복혈당장애(IFG, Impaired fasting glucose)와 내당능장애(IGT, Impaired glucose tolerance)를 포함합니다. 이 두 가지 상황을 당뇨병 전단계라 부르는 이유는 이러한 혈당이 나타나는 경우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미국당뇨병학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 제시한 진단기준에 따른 공복혈당장.. 2023. 7. 29.
공복혈당(FBS, fasting blood sugar) 목차 ⨀ 1. 공복혈당(FBS, asinf blood) ⨀ 2. 공복혈당측정방법 ⨀ 3. 혈당측정시 Q&A ⨀ 4. 정리 공복혈당(FBS, faing blood sugar) 공복혈당(fasting blood sugar)이란 말 그대로 공복 시 즉 식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측정한 혈액 내 포도당 수치(혈당)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8시간 정도 아무것도 먹지 않은 상태에서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합니다. 공복혈당의 정사수치는 70-99mg/jdl 입니다.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면서 혈당을 낮추어 주기 때문에 공복혈당이 70mg/dl에서 100mg/dl을 넘지 않습니다. 그래서 혈당을 측정했을 때 70-99mg/dl까지를 정상이라고 합니다. 만약 공복혈당이 1.. 2023. 7. 29.
간호사의 주의 의무 간호사의 의무는 의료법에 명시된 의무와 의료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판례로 인정되는 의무가 있다. 판례에서 인정하는 간호사의 의무에는 주의의무, 설명의무, 확인의무, 감시 및 보고의무가 있다. 오늘은 첫번째로 주의의무를 알아보자 목차 ⨀ 1. 주의의무란 ⨀ 2.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 ⨀ 3. 주의의무 위반 판단기준 ⨀ 4. 주의의무와 간호과실 ⨀ 5. 주의의무 사례 주의의무란? 주의의무란 간호사가 간호행위를 하는 동안에 대상자에게 유해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의무이다.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 주의의무는 결과예견의무와 결과회피의무로 구성되는데 결과예견의무란 신중한 간호사라면 간호행위를 수행 시 그 행위로 인해 어떠한 결과가 발생할 것인지 예견을 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 2023. 5. 4.
728x90
반응형